본문 바로가기
Python

python 01. 자료형과 문자열

by 주혀니 2022. 1. 18.
  • 1. 자료형 (data type)

코드를 이루는 가장 기본 단위는 자료들일 것이다. 자료들이 어떤 유형으로 되어있는지는 가장 기본 중에 기본인 것이다. 사람으로 따지면 세포가 컴퓨터의 자료인 것이다. 기본인 만큼 확실하게 알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 문자열(string) : "안녕하세요", "Hello World"
  • 숫자(number) : 1,23,54,193 
  • 불(boolean) : True, False 

2. 문자열

문자열은 영어로 string 이라고 부른다. 

print("안녕하세요 빵장입니다")
print(10,20,30,40)
print("안녕하세요", "저는", "빵장 입니다.")

모두 문자열이다.

문자열은 문자를 ""로 감싸서 만든다. 

 

print("안녕하세요" + 1)

다음과 같이 문자열을 만들면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를 볼 수 있다.

SyntaxError: invalid syntax
구문 오류라고 하는데 코드에 괄호를 열고 닫지 않았거나 따옴표를 열고 닫지 않았거나 하는 일이 생기면 오류라고 알려준다.

무조건 문자열끼리 + 기호를 사용해서 연결해야 하고 숫자라면 "" 큰따옴표로 감싸서 문자열로 인식시켜야 에러가 안생긴다.

 

 

3. 문자선택 연산자

  • 문자 선택 연산자 : 내부의 문자 하나를 선택하는 연산자. [] 대괄호 안에는 선택할 문자의 위치를 지정하며, 이 숫자를 인덱스(index) 라고 부른다.
print("안녕하세요"[0])
print("안녕하세요"[1])
print("안녕하세요"[2])
print("안녕하세요"[3])
print("안녕하세요"[4])

결과 값 :

안
녕
하
세
요

파이썬은 제로 인덱스(zero index)이기 때문에 첫번째 글자는 0면째 두번째 글자가 1번 째가 된다.

 

print("안녕하세요"[-1])
print("안녕하세요"[-2])
print("안녕하세요"[-3])
print("안녕하세요"[-4])
print("안녕하세요"[-5])

결과 값 :

요
세
하
녕
안

음수 값을 넣으면 반대 방향으로 출력이 된다.

 

  •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슬라이싱): [ : ] / 문자열의 범위를 선택하고자 할때
print("안녕하세요"[1:4])
>>> 녕하세

1번째에서 3번째 글자까지 선택되었다. 파이썬은 마지막 숫자에 해당하는 문자는 선택하지 않는다.

 

print("안녕하세요"[1:]
>>>녕하세요
print("안녕하세요"[:3]
>>>안녕하

뒤 또는 앞의 값을 생략한다면 최대값, 최소값이다.

 

 

4. 문자열의 길이 구하기

len() 함수를 사용한다.

 

print(len("안녕하세요"))
>>>5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02. 예외  (0) 2022.01.26